(사진출처 = 네이버)
추석차례상차림 방법 노하우 (추석상차림음식차리기,차례상차리는법,차례상음식,추석차례상차림,제사상차림,차례상차리기,추석상차림,차례상,설차례상차림,설날차례상차림,명절차례상차림,차례상차림법,진설법)
매년 추석차례상을 차릴때마다 인터넷을 찾는것도 힘들어서 이제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면서 기억을 할려고요~ ^^ 요즘은 차례상을 차리는것도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차례상 대행업체도 있다고 하더라고요. 아무튼 추석차례상을 차리는 분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~ ^^
+ 추석차례상차림 방법
1열 : 시접, 잔반(술잔, 받침대)을 놓고 송편을 올림
2열 : 어동육서 : 생선은 동쪽, 고기는 서쪽 / 두동미서 : 생선의 머리는 동쪽, 꼬리는 서쪽
3열 : 생선·두부·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음
4열 : 좌포우혜 : 좌측 끝에는 포, 우측 끝에는 식혜
5열 : 조율이시 : 왼쪽부터 대추, 밤, 배, 곶감 순으로 놓음 또는 홍동백서 : 붉은 과일은 동쪽, 흰 과일은 서쪽
- + 차례지내는 방법
- 1. 강신 : 제주가 향을 피운다.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,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. 신주를 모실 경우,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. 묘지에서는 모삿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하다.
- 2. 참신 : 기제사와 같다.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.
- 3. 헌주 : 술을 제주가 올린다.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이다.
- 4. 삽시정저 : 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,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한다.
- 5. 시립 : 일동이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는다.
- 6. 사신 : 수저를 거둔다. 뚜껑이 있다면 덮는다. 일동이 2번 절한다.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,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신다.
- 7. 철상, 음복 : 기제사와 같다.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.
+ 에이지락 감마 TR90 "2013년 10월 드디어 한정판매 예정!" 문의하기 >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생 대본은 그 누구의 것도 아닌, 바로 자신의 것이다. 자신이 쓴 대본을 갖고 무었을 하느냐 하는 것은 오로지 자신에게 달렸다.꿈과 영감주는 천성영 올림^^♡ (0) | 2014.11.14 |
---|---|
행복은 자신을 좋아할 때 생긴다. (0) | 2014.10.20 |
우리 안에 있는 것에 비하면 우리 뒤에 있는 것과 우리 앞에 있는 것은 매우 보잘것없다. (0) | 2014.10.15 |
당신은 현재의 모습보다 휠씬 나은 존재이며 지금보다 더 나은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. (0) | 2014.10.14 |
2013년 리스타트 잡페어 광화문 광장에서 한다고 해요! 11월9일~11월10일 (취업사이트,취업정보,여성취업,취업박람회,취업성공패키지,주부취업,취직,호텔취업,취업자기소개서,취업컨설팅,취업.. (0) | 2013.11.03 |